현대18톤지게차의 브레이크오일교환,
(LUBRIZOI 9990A 브레이크오일첨가제와 +오일, 가격 각5만원정도씩)
현대18톤지게차의 브레이크오일은 대형차량이다보니 대용량오일탱크와 펌프 휠타
라디에타등을 경유하는 기존과 다른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책자에보면 1000시간 6개월 교환주기로 되어 있습니다.
오일은 Lubrizol Lz9990a 브레이크전용오일로 첨가제라고 하는데
위그림 말통오일과(유압유) 혼합해서 사용합니다.
구입은 현대부품센타에서 하면됩니다.
오일량은 제원상으로 31+2ℓ로 되어있는데 20ℓ말통하나와 첨가제1통을 교환해주면 됩니다.
중간에 조그만휠타도 같이 교환해주도록 합니다.
좌측 엔진룸 옆에보면 브레이크쿨링오일 이라고 영어로 표기가되어 있습니다.
이곳 카바를열고 바로안쪽 게이지 꽂혀있는 곳이 브레이크오일 교환이나 보충해주는 곳입니다.
유압유탱크와 서로옆에 붙어있으므로 혼동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브레이크쿨링오일과 유압유는 별개의 칸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브레이크 오일교환 하기위해 오일빼기는 게이지아래 탱크밑의 호수를풀어 배출해야 합니다.
라디에타방향 호스말고 전면부방향 호스를풀어서 배출해 주도록합니다.
밑에보면 바로옆에 유압유탱크 오일빼기 드레인플러그를 풀지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유압유탱크는 높은압력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일을 뺄경우에는 위험할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오일과 휠타를 교환후에는 브레이크 안쪽에 브리더밸브를 풀어 오일빼기를 해주어야합니다.
운전자메뉴얼에 보면 브레이크오일 교환에 대한 내용이 없다보니 제대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장비판매를하고, 구입을하게되면 보통책자가 운전자메뉴얼 (취급설명서), 정비지침서,
부품카탈로그(파트메뉴얼), 등으로 3가지 책자를 제공하게 됩니다.
현대의경우 언제부터인가 정비지침서를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운전자메뉴얼은 운행을위한 최소한의 안내서일뿐
수리와 정비를 위해서는 정비지침서가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알고 정비하는것과 아주간단한것도 모르고 정비하는것은 너무큰 차이가 있다 할것입니다.
두산의경우 책자가 제공되는것으로 아는데 현대의경우 책자제공이 되지않는것에
유감스러움을 밝히는 바입니다.
장비소유자들이 자가정비를 하는경우가 많기때문에 옳바른 지침이 될수있도록
책자제공을 요구부탁드리는 바입니다.
AS의경우 1년정도지나면 도움받기도 어려워지고
고장등이 있을경우 필요한곳에서 원하는 만큼 조언이 안되는 경우가 많을수 밖에 없습니다.
브레이크페달
운전자석에있는 페달을 보면
왼쪽에 인칭페달 가운데가 브레이크페달 오른쪽이 악셀 가속페달 입니다.
인칭과 브레이크페달의경우 예전에는 인칭을 사용할경우 미션차단과 브레이크작동시 시간차 간극이 커 출렁거림이 심했습니다.
그래서 브레이크페달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인칭을 사용해도 층 발생이 적고 부드럽게작동되는 편이라 인칭을
사용합니다.
인칭은 처음밟을경우 미션에서 1차 차단이되고 2차로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이
되게 됩니다.
미션과 브레이크가 동시에 차단이 이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경우는 미션은 차단되지않고 브레이크만 작동됩니다.
브레이크보다는 인칭페달을 사용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처음 지게차를 운전하는 분들의 경우 자동차운전하는 식으로
오른발만을 사용해서 악셀과 브레이크페달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못된 방법입니다.
인칭을 사용하든 브레이크를사용하든 양발을사용해서
가속과 멈춤을 항상 순간적으로 이루어질수 있게 운전해야합니다.
발또한 페달에서 떨어지지않고 항상 밟을준비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현대18톤지게차의 브레이크오일은 브레이크쿨링오일로 적혀 있습니다.
주행 운행할때 가장중요한게 브레이크라고 할수 있습니다.
산이많은 우리나라의경우 경사가심한곳을 길게내려가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형차의경우 가속등이 더해져 심하게 브레이크를 밟을경우 엄청난 마찰력으로
열또한 엄청나게 발생할수 밖에 없습니다.
그열을 식혀줄 오일탱크 휠타 펌프 라디에타등 쿨링시스템을 적용한것 같습니다.
그래도 여름같은경우 심한고갯길을 내려갈경우 브레이크경고등이 들어올정도로
열이 발생되는것 같습니다.
18톤지게차의경우 브레이크작동은 그래도 강력하게 정말잘되는것 같습니다.
브레이크가 강력하게 잘 작동되는만큼 급격하게 작동시킬경우
동판도 2개박에 되지않고 아무래도 무리를 줄것 같습니다.
심한경사지 등에서 충격적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보다
속도가 나기전에 미리조금씩 밟아 주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지하램프와같이 경사가 심한곳의 작업할때
방법입니다.
중량이 많이나가는 물건을 들고 후진으로 경사가 심한곳을 내려가야할경우에는
후진1단을 놓고 내려가기보다 전진1단에놓고 악셀은 밟지않으면
자체중량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속도가 날때면 브레이크만 조금씩 밟아주고 그래도 속도가나면 악셀을 밟아주어 속도를잡고 천천히 내려갈수 있습니다.
후진1단을 놓고 내려가게 되면 중량과 가속으로 브레이크범위를 넘을수가 있습니다.
전진1단이 오히려 안전하게 내려갈수있는 작업방법일수 있습니다.
모든분들 안전운행해서 날마다 행복한 하루되시길 바랍니다.
추가글 : 시간이 지나고 다시오일교환을 하게 됐습니다.
현대센터에서 첨가제와 유압유를 구입해서 교환해 주었습니다.
브레이크오일이 따로있는것이 아니고 유압유와 브레이크오일 첨가제를 혼합해서
사용함을 확인했습니다.
현대센터에서 Hydraulic oil ISO-46번을 제공합니다.
고양파주대형지게차 031-902-1212
O1O-3739-5OO8
'대형지게차,영업용지게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지게차 밴드 개설했습니다. (0) | 2018.01.12 |
---|---|
2017년 12월 10일 오후 06:53 (0) | 2017.12.10 |
트랜스미션오일 교환하기 (0) | 2017.06.09 |
지게차 도색하기 (0) | 2017.03.30 |
대형지게차작업 모습입니다. (0) | 2016.03.12 |